

문제6번] 인간행동방정식과 P와 E의 구성요인을 열거하고, 운전자 지각반응시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건설안전기술사_기출문제 120회 3교시]
답]
Ⅰ. 개요
1)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대부분 인간의 잘못된 행동이나 판단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으며,이러한 인간행동의 원인을 이해하는 것은 재해 예방의 핵심이 된다.
2) 인간행동방정식 B = f(P, E) 는 인간의 행동이 개인(Personal) 요인과 환경(Environmental) 요인의 함수로 결정된다는 개념으로,안전관리 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한 이론이다.특히 운전자의 지각반응시간은 위험 인지와 회피 행동 사이의 핵심 요소로,건설장비 및 차량 사고 예방을 위해 면밀히 고려되어야 한다.
Ⅱ. 인간행동방정식의 개념
1) 정의
미국 심리학자 커트 레빈(Kurt Lewin)의 공식으로 인간의 행동(B)은 개인(P)과 환경(E)의 함수로 결정된다. → B = f(P, E)
2) 의의
인간의 행동을 단순히 개인의 문제로 보지 않고, 환경적 영향 요인도 함께 고려하는 안전관리 접근을 가능케 한다.
III. P와 E의 구성요인
1) P(Personal factors: 개인 요인)
구분
|
주요 내용
|
생리적 요인
|
피로, 건강상태, 감각능력 등
|
심리적 요인
|
스트레스, 동기, 감정 상태 등
|
지식/경험
|
교육 수준, 숙련도, 과거 경험 등
|
성격/기질
|
성격유형, 충동성, 위험감수 성향 등
|
판단능력
|
주의력, 기억력, 반응속도 등
|
2) E(Environmental factors: 환경 요인)
구분
|
주요 내용
|
물리적 환경
|
조도, 소음, 진동, 온도, 공간 협소 등
|
조직적 환경
|
작업시간, 안전문화, 리더십, 팀워크 등
|
사회적 환경
|
동료의 압력, 분위기, 작업자 간 신뢰 등
|
작업환경
|
복잡성, 위험물질 존재, 장비 안전성 등
|
IV. 운전자 지각반응시간의 개념과 영향요인
1) 지각반응시간(PERCEPTION-REACTION TIME)
위험요소를 인지한 후, 실제 제동·회피 등의 행동을 취하기까지의 시간을 말하며, 보통 1.5초~2.5초 기준 (도로설계 기준은 2.5초 사용)이다.
2) 구성 단계
① 인지(perception) → ② 판단(decision) → ③ 반응(reaction)
3) 영향 요인
구분
|
내용
|
생리적 요인
|
피로, 음주, 약물, 시력, 연령 등
|
심리적 요인
|
집중도, 긴장도, 스트레스 등
|
환경적 요인
|
조도, 기상, 장애물, 경보음 등
|
차량 조건
|
제동계통, 조향성, 속도 등
|
4) 운전자 지각반응시간과 안전 확보의 관계
① 지각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제동거리 증가하고 그로인해 사고 위험이 커진다.
② 고속 주행 중 반응시간 0.5초 지연되면 수 미터 단위의 충돌 거리가 발생한다.
③ 장비 운전자의 경우 시야 확보, 집중력 유지가 더욱 중요하다.
④ 지각반응시간을 단축하거나 여유를 확보하는 설계 및 관리가 필요하다.
V. 인간행동 기반 안전 대책
1) 개인(P) 요인 개선
① 운전자 건강관리, 스트레스 관리, 숙련도 향상.
② 정기 안전교육, 휴식시간 준수, 음주·약물 근절.
2) 환경(E) 요인 개선
① 작업장 조도 개선, 경고표지·음향 장치 강화.
② 운전석 시야 확보, 위험요소 사전 제거.
3) 지각반응 보조 시스템 도입
①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장애물 감지 센서, 자동 제동 시스템.
② 후방 카메라, 음성 경보장치 등 시청각 보조기기.
VI. 결론
1) 인간행동방정식은 개인과 환경이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건설현장 안전관리의 체계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장비 운전자나 차량 운전자의 경우, 지각반응시간은 재해 예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2) 이를 단축시키기 위한 교육·휴식·기술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앞으로는 P와 E 요소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행동 위험성 예측 및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2025.04.11 - [건설안전기술사 서브노트] - [건설안전기술사_기출문제 120회 1교시 4번] 암반의 암질지수(RQD: Rock Quality Designation)